정부가 구축한 공공 데이터를 대화형 서비스에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AI 허브(Hub)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는 한국어 영어 번역(병렬) 말뭉치 데이터, 한국어 음성, 감성 대화 말뭉치 순이었습니다. 데이터를 통해 AI 트렌드를 정리했습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직원들에게 인공지능(AI) 기술 위험성에 대해 알리지 못하도록 불법적으로 막았다는 내부 고발 주장이 제기되면서 안전·윤리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습니다. 오픈AI 직원들은 이달 초 연방거래위원회(SEC)에 회사 비밀 유지계약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본법’에서 과징금·벌금에 대한 의무 규정 의무 이행 확보 수단이 없기에 법안의 중심은 진흥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AI 산업의 진흥과 규제 사이에서 균형을 확보하고, 국익을 위한 법안의 조속한 통과가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입니다. 입법을 위한 논의와 공론화 필요성을 강조한 관련 부처와 전문가 논의를 모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