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론하는 인공지능(AI) 모델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구글과 오픈AI가 연이어 기존 AI 모델에 추론능력을 강화한 버전을 내놓고 있는데요. 추론형 AI는 기존의 생성형 AI 문제로 꼽힌 할루시네이션(환각)을 여러 단계를 거쳐 보완하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더욱 정확한 답을 내놓을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인터넷 검색 판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검색에 들어서면서부터인데요. 오픈AI는 최근 챗GPT 검색 기능인 ‘챗GPT 서치’를 무료로 개방해 검색 시장 판도를 뒤흔들었습니다. 글로벌 검색 시장 강자인 구글과 국내 강자인 네이버가 AI 기능을 서둘러 보강하고 있지만, 오픈AI의 추격을 떨쳐내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한국 AI 개발 환경이 서류에 집중돼 있다는 비판이 AI 업계에서 나왔습니다. 정부 주도 AI 사업을 할 때 모델 개발 및 서비스에 관한 ‘행동’ 영역보다 제안서 준비 ‘행정’ 절차의 비중이 커 연구진들이 본연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단 지적인데요.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 다양한 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